[이산수학] 경우의 수, 순열, 조합
경우의 수 모든 경우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빠짐없이, 중복되지 않게 해야 한다. 경우의 수를 구하는 방법은 트리를 이용하는 방법, 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합의 법칙 두 사건 A, B(A∩B = ∅)가 일어날 경우의 수를 n(A) = m, n(B) = n이라 하면, A 또는 B가 일어날 경우의 수는 m+n이다. n(A∪B) = n(A) + n(B) = m+n 곱의 법칙 두 사건 A, B에서 n(A) = m, n(B) = n이라 하면, A, B가 동시에 일어날 경우의 수는 m•n이다. n(A x B) = n(A) x n(B) = m•n 순열 서로 다른 원소들을 순서를 고려하여 일렬로 배열하는 것. 서로 다른 n개의 원소를 한 줄로 배열하는 순열의 수는 n!이라고 한다. 1부터 n까지의 모든 자연수의 곱..
202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