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3 컴퓨터의 기억 장치 컴퓨터의 기억 장치 별 데이터 관리 체계 보조 기억 장치 보조 기억 장치(HDD, SSD 등)는 트랙(Track)번호와 섹터(Sector)번호를 붙여 관리하며, 트랙과 섹터 번호는 위치 정보를 의미한다. 💡클러스터 :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해 디스크 공간을 할당하는 단위 데이터가 할당된 트랙 + 섹터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따로 떨어져 있다면 I/O 속도가 느려진다. 이렇게 조각난 데이터를 모으는 과정을 조각모음이라고 한다. 주 기억장치(RAM) RAM은 1byte 크기의 공간에 고유한 일련 번호를 붙여 관리한다. 이 번호는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담고 있으며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이 주소를 통해 데이터가 저장된 곳을 추적해 저장한다. CPU(Register) 레지스터는 개별 기억공간마다 고유번호를 붙인다... 2023. 10. 11. CPU가 작동하는 원리 https://youtu.be/BSDRpQr85qk?si=WGS5Jg3wtJ87AqW5 유튜브 '널널한 개발자 TV'님의 강의를 토대로 작성된 글입니다. 디지털 회로 CPU는 전자식 계산기라고 할 수 있으며 산수, 사칙 연산을 수행한다. 또한, CPU는 트랜지스터라는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고 반도체는 전기가 흐르는 도체(1) 흐르지 않는 부도체(0)의 성격을 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즉, CPU는 전류의 흐름이 흐르거나, 흐르지 않거나의 따라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논리 게이트 CPU는 디지털 회로로 이루어져 있고 디지털 회로는 여러개의 논리 게이트를 가진다. 그 중 대표적으로 AND, OR, XOR, NOT이 있다. AND 게이트(논리의 곱) : 둘 다 참이 아니라면, 모두 거짓이다. OR.. 2023. 9. 18. 컴퓨터 용량 단위와 진법 변환 컴퓨터 용량의 단위 Bit(Binary digit) 컴퓨터는 전기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전기가 할 수 있는 일은 고작 On/Off 밖에 없기 때문에 2가지의 숫자. 즉, 2진법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컴퓨터에 전기는 그냥 흐르는 것이 아니라 스위치에 의해 켜지고 꺼진다. 이러한 스위치를 트랜지스터라고 하며 수많은 트랜지스터가 컴퓨터 안에 존재한다. 트랜지스터는 0과 1로 표현되는 2진법으로 동작 방향성을 설정하고 전기가 흐르는 On 상태를 1, 흐르지 않는 Off 상태를 0으로 디지털 화한다. 비트(Bit)는 이진 숫자(Binary digit)의 줄임말로 2진법에서 하나의 자릿수를 표현하는 단위를 말한다. 오직 0, 1의 값만을 가질 수 있는 최소한의 측정 단위로 용량이 아니라 표현 수준의 단위라는 것을 .. 2023. 9. 14. 이전 1 다음